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네트워킹을 하면서 꼭 알아두어야 할 약어들

by Pooh0216 2019. 4. 15.

AAA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계정관리(accounting)의 첫 머리 글자를 따서 AAA 라고 합니다. 요즘은 워낙 보안에 관한관심이 높아지면서 AAA처럼 보안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AAL

ATM adaption layer 의 약자입니다. 물론 ATM에서 나오는 말입니다. 데이터 링크계층에 속하는 계층입니다. AAL 은 데이터를 받아 그 데이터를 48바이트 ATM 페이로드 세그먼트 형태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 AAL은 CS 와 SAR이라는 두개의 서브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AL의 네가지 유형은 AAL1, AAL2, AAL3/4, AAL5 입니다.

 

AARP

AppleTalk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주로 매킨토시가 사용하는 AppleTalk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링크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Access list

우리가 배운 것이 나왔네요, 라우터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자세한 것은 액세스 리스트에 관한 책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Access server

커뮤니케이션 서버 혹은 Network Access Server(NAS) 라고도 부르는 이 서버는 일반적으로 모뎀등의 콜을 LAN 에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우리가 집에서 모뎀을 통해 ISP 업체에 접속하는 경우 모뎀의 콜을 처음으로 받아서 서버나 인터넷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이 액세스 서버입니다.

 

ACD

 

automatic call distirubtion(자동 호출 분배)의 약자입니다. 동일한 교환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장소의 고객들에게 자동으로 호출을 재 라우팅하는 장치나 서비스 입니다.

즉 고객이 전화를 걸었을때 교환원중에서 지금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찾아서 그 전화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ACD 라고 할 수 있습니다.

 

Acknoledgement 또는 ACK

어떤 상황에 대한 인식했음을 확인해 주는 신호를 말합니다. 즉 상대편이 어떤 요청에 대한 시그널을 보냈을때 그 시그널을 받았다는 표시로 ACK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Active monitor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무한으로 네트워크를 돌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 원래는 데이터를 만들어서 보낸 PC, 즉 출발지의 PC 가 전송후 다시 돌아온 데이터를 삭제하게 되지만, 만약 전송 PC 의 고장으로 이 데이터가 링 안에서 계속 돌아다닐때 이를 발견해서 대신 없애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ddress mapping

한 형태(프로토콜)의 주소를 다른 형태(프로토콜)의 주소로 변환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X.25를 통해 IP를 라우팅 할때, X.25 네트워크가 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IP주소를 X.25 주소로 맵핑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바로 IP 주소와 X.25를 서로 바꾸 어주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Administrative distance

라우터에서 주로 나오는 말입니다. 즉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구해진 라우팅 정보를 그 신뢰도에 따라넛 수치로 나타낸 값입낟. 예를 들어 같은 목적지에 대해서 스태틱 라우팅 정보로 알게된 경로가 있고 RIP 라우팅으로 알게된 경로가 있다면 라우터는 이중 administrative distance 값이 작은 스태틱으로 알아낸 경로를 선택하게 됩니다. 이 값은 0에서 255 까지이며,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신뢰도 등급은 더 낮아집니다.

 

Advertising

광고, 즉 라우팅 정보나 서비스 업데이트 내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네트워크로 내보내는것을 말합니다. 이런 advertising 은 다른 라우터들이 이 라우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줍니다.

 

Alarm

주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NMS: Netowrk Management System) 에서 사용되는 말입니다.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 alarm 신호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미국 국립 표준기구)의 약자입니다. 기업체와 정보단체, 그리고 표준과 관련된 활동을 조정하고, 미국 국내 표준을 승인하는 등 국제 표준 단체들에서 미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일을 하는 단체입니다. ANSI는 주로 통신과 네트워킹 분야와 관련해 국제 표준과 미국 국내 표준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AppleTalk

AppleComputer 에서 설계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매킨토시 간의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현재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은 프로토콜입니다.

 

Application layer(애플리케이션 계층)

OSI Reference model(OSI 기준모델) 에서의 7번째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OSI 모델에 속하지 않는 (전자메일, 파일전송, 터미널, 에뮬레이션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의도한 통신 상대측 및 연결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이용가능 상태를 알아내어 설정하고,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동기화시카고, 오류복구나 데이터 손상방지를 위해 프로시저에 관한 합의 사항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주소 분석 프로토콜)의 약자입니다.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꾸어 줄때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AS

Autonomous System 의 약자입니다.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하느의 관리체계로 움직이는 영역이라고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즉 만약 한 회사의 네트워크가 다른 회사의 네트워크와 연결된다면 각회사의 네트워크를 하나의 AS 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주로 BGP 를 이용해서 일어납니다. 또 Autonomous System 은 IANA에서 할당한 고유한 16비트를 부여받아서 사용합니다.

 

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의 약자입니다. AS 간의 연결을 위한 라우터가 바로 ASBR 입니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의 약자입니다. 문자를 표현하는데 쓰이는 8비트 코드 체계 입니다.(7비트 더하기 패리티)

 

Asynchronous Transmission(비동기 전송)

정밀한 클럭처리를 하지 않고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비동기 전송에서는 일반적으로 싲가비트와 정지비트가 사용됩니다.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비동기 전송모드) 의 약어입니다. 음성,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를 고정길이(53바이트) 셀에 넣어 전달하는 국제 셀 릴레이 표준입니다. 고정길이 셀(53바이트)을 이용해서 전송 지연을 획기적으로 줄인 통신방식입니다. ATM은 E3, SONET, T3 등과 같은 고속 전송 미디어를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ATM layer

ATM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링크레이어의 서비스 독립적인 서브레이어 입니다. ATM 레이어는 AAL에서 48바이트 페이로듣 세그먼트를 수신한다음, 각 세그먼트에 5 바이트 헤더를 붙여 53바이트의 표준 ATM 셀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셀들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Physical 레이어로 넘겨지게 됩니다.

 

AURP

Apple Talk Update-Based Routing Protocol의 약자입니다. Apple Talk 트래픽을 캡슐화해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의 헤더안에 넣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두개 이상의 서로 접하지 않는 애플토크 인터네트워크를 (TCP/IP와 같은)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결해 애플토크 WAN 을 만들수 있습니다. 이런 연결을 AURP 터널이라고 한다. AURP 는 캡슐화 기능 외에도 외부라우터들 사에엇 라우팅 정보를 교환해 전체 Apple Talk WAN 의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authentication

인증, 즉 보안기능중에서 사람이나 프로세스의 신분을 확인해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로 말하자면 Who are you? 정도가 됩니다.

 

Backbone

중심이 되는 경로라고 생각하면 됨,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부터 가장 자주 송수신 대상이 되는 통신의 주경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도로로 비유하면 고속도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네트워크의 성능은 백본의 성능이락  할 정도로 백본은 중요합니다.

 

Bandwidth(대역폭)

네트워크 신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와 가장 낮은 주파수 사이의 차이, 네트워크에서는 주로 속도를 나타낼때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즉 Bandwith 가 10Mbps 라면 이것은 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Baud

"보우" 또는 "보" 라고 읽습니다. 초당 전송되는 독립적인 신호 요소의 수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속도의 단위, 각 산호요소가 정확하게 1비트에 해당한다면 Baud(보)는 초당 비트수 (bps) 와 같은 의미가 됩니다. 터미널 에뮬레이션 세팅시에 baud 를 9600으로 맞추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셨을 것 입니다.

 

B channel

Bearer channel(베어러 채널)의 약자입니ㅏㄷ. SIDN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보내느데 사용되는 전이중, 64Kps 채널입니다. 참고로 BRI 의 경우는 2개의 B채널을 가지고 있고, T1 PRI 의 경우는 24개, E1 PRI 의 경우는 30개의 B채널을 가지고 있습니다.

 

Beacon

케이블이 끊어지는 경우와 같은 심각한 문제가 링에 발생했음을 알려주기 위해 토큰링 장치나 FDDI 장치에서 보내는 프레임을 말합니다. Beacon(비콘) 프레임에는 다운된것으로 추정되는 스테이션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BECN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의 약자입니다. 통신에서 congestion, 즉 혼잡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서 만든 비트입니다.

 

BGP

Border Gateway Protocol의 약자입니다. AS간의 라우팅에 사용됩니다. 이런 프로토콜을 Exterior Gateway Protocol이라고 합니다. 요즘 인터넷의 대중화로 회사의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BGP가 자주 사용됩니다.

 

BGP4

BGP Version 4, 즉 BGP 버전 4의 약자입니다. 요즘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의 BGP 프로토콝은 바로 BGP4 dlqslek.

 

B-ISDN

Broadband ISDN(광대역 ISDN)의 약자입니다. 비디오와 같은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룰 수 있도록 고안된 ITU-T 통신 표준입니다. BISDN은 현재 SONET 방식 전용회슨을 통해 ATM 기술을 하용하며 155Mbps 에서 622Mbps 이상까지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Bit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8비트(bit)가 1바이트(byte) 0과 1로 표현됩니다.

 

BOOTP

Bootstrap Protocol(부트스트랩 프로토콜)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가 자신의 IP 정보를 받아오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Bootp 서버는 주로 NMS 가 담당합니다.

 

BPDU

Bridge Protocol Data Unit 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의 브리지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디폴트 2초) 으로 보내지는 브리지의 정보입니다. 이 정보를 이용해서 브리지는 스패닝트리를 구현합니다.

 

BRI

Basic Rate Interface 의 약자입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두개의 B 채널과 한개의 D 채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ridge

브리지의 가장 큰 역할 중하나는 역시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준다는 것입니다.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네트워크 세그먼트 사이에서 패킷을 연결하고 전달하는 장치로, 브리지들은 OSI의 데이터링크계층(2계층)에서 작동합니다. 일반적으로 브리지는 수신되는 프레임의 MAC 주소를 기준으로 프레임을 필터링 하거나 진행방향으로 포워딩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Broadband(광대역)

1. 다수의 독립적인 신호를 하느이 케이블로 멀티플렉싱하는 전송시스템

2. 통신전문용어 : 음성수준 채널(skHz)보다 더 큰 대역폭을 가지는 모든 채널

3. LAN 용어: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방식을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

 

Broadcast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했을 때 이 패킷을 받는 모든 장비들의 영역을 말합니다. 이런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오로지 라우터에 의해서만 분리가 가능합니다.(가상 랜을 사용하는 스위치도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어주지만 서로간의 통신은 불가능합니다. 라우터를 거쳐야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Broadcast domain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했을때 이 패킷을 받는 모든 장비들의 영역을 말합니다. 이런 브로드 캐스트 영역은 오로지 라우토에 의해서만 분리가 가능합니다.(가산 랜을 사용하는 스위치도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어 주지만 서로간의 통신은 불가능합니다. 라우터를 거쳐야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Brouter

브라우터라고 부르는 이 장비는 Bridge(브리지)와 router(라우터)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요즘 대부분의 라우터가 브리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니까 엄밀히 말하면 브라우터인데 이 말은 요즘은 별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오래된 말입니다.

 

Buffer

전송중인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저장영역을 말합니다. 버퍼는 통신에서 서로 다른 처리속도의 차이를 해결해 주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즉 받아주는 장비의 처리속도가 느린 경우 보내는 장비는 자신의 버퍼에 패킷을 임시 ㅂ관하고 있다가 받아주는 장비가 받을 준비가 되면 버퍼에 있던 패킷을 보냅니다.

 

Bus Topology

네트워크 스테이션에서 시작된 전송이 미디어의 길이를 따라 전달되어 다른 모든 스테이션이 수신하게 되는 버스 모양의 랜구조를 말합니다. 이더넷이 주로 버스 토폴러지 입니다.

 

Byte(바이트)

8비트가 1바이트가 됩니다.

 

Caching

캐싱이라는 일반적의미는 배운 정보를 다음에 사용할 때 또 배울 필요 없이 일정한 곳에 저장했다가 빠르게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즘은 인터넷에서 한번 갔다 온곳을 다시 갈때를 대비해서 서버가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캐시 서버 또는 캐시 엔진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CAM

Content-Addressable Memory 의 약자입니다. 스위치 등에서 주소 저장을 위한 메모리로 많이 사용됩니다.

 

Category 1 cabling

EIA/TIA-586 표준에서 규정한 다섯가지 등급의 UTP 케이블 연결방식중의 하나로서, Category 1 케이블링은 전화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은 케이블링입니다.

 

Category 2 cabling

EIA/TIA-586 표준에서 규정한 다섯가지 등급의 UTP 케이블 연결방식중의 하나로서, Category2 케이블링은 최대 4Mbps 까지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Category 3 cabling

EIA/TIA-586표준에서 규정한 다섯가지등급의 UTP케이블 연결 방식중의 하나로서, 10BaseT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케이블입니다. 전에는 UTP케이블이라고 하면 바로 이 케이블을 이야기할 정도로 일반적인 케이블 이었습니다. 최대 10Mbps 속도까지 데이터를 전송할수 있고, 잘만 구성하면 100Mbps 속도에도 적용이 가능한 케이블입니다.

 

Category 4 cabling

EIA/TIA-586 표준에서 규정한 다 가지 등급의 UTP 케이블 연결방식 중의 하나로서,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최대 16Mbps의 데이터 전송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Category 5 cabling

EIQ/TIQ-586 표준에서 규정한 다섯가지 등급의 UTP 케이블 연결방식 중의 하나로서, Category 5 케이블링은 최대 100Mbps 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요즘 사용되는 대부분의 UTP 케이블은 바로 이런 카테고리 5 케이블이라고 봐도 됩니다. 또 지금은 기가 비트 표준으로까지 쓰이고 있습니다.

 

CATV

cable television(케이블 TV)의 약자입니다. 동축케이블을 사용해 여러채널의 프로그래밍 자료가 가정으로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입니다.

 

CBR

Constant Bit Rate 의 약자입니다. ATM 포럼에서 정의한 ATM 네트워크 QoS 클래스 중 하나입니다. CBR은 왜곡되지 않은 데이터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정밀한 클럭 처리 방식에 의존하는 연결 장치에서 사용된다고 합니다.

 

CCITT

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의 약어입니다. 통신 표준 개발을 담당하는 국제적인 단체입니다. 지금은 ITU-T 라고 합니다.

 

CDDI

Copper Distributed data Interface의 약자로, STP 케이블 배선과 UTP 케이블 배선을 통한 FDDI 프로토콜을 구현했습니다. CDDI는 비교적 짧은 거리(약 100m) 에서 전송하며, 백업(Backup)을 위하여 듀얼-링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100Mbps 데이터 속도를 제공합니다.

 

CDP

Cisco Discovery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시스코라우터나 스위치 장비들끼리 서로의 정보를 볼 수 있도록 만든 프로토콜입니다.

 

Cell

ATM 스위칭에서 기본 데이터 단위를 말합니다. 하나의 셀은 5바이트의 헤더부분과 48바이트 페이로드, 즉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Channel(채널)

주로 통신경로를 일컫는 말입니다. 요즘은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개의 채널을 전송하는 기술 또는 여러개의 케이블을 묶어서 하나의 채널 전달엥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hannelized E1

2,048Mbps의 속도를 64Kbps 속도로 30개의 채널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기술입니다.

 

Channelized T1

1,544Mbps의 속도를 64Kbps 속도로 24개의 채널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기술입니다.

 

CHA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의 약자입니다. PP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보안 기법중의 하나로, 접속시에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이용해서 접속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와 비슷한 기법으로는 PAP이 있는데 PAP에 비해 암호를 Encrption해서 보낸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Checksum

전송된 데이터가 이상 없이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즉 데이터와 같잉 데이터를 가지고 만든 체크섬이라는 정수값을 보내는데, 수신측에 이 값을 다시 계산해서 보내온 체크섬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두 값이 서로 같으면 데이터에 이상이 없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의 약자입니다. 즉 주어진 IP 를 클래스 구분없이 뒤에 오는 서브넷 마스크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BGP4에서 지원하며 CIDR은 라우팅 테이블을 줄이는데 효과적입니다.

 

circuit switching

전송전에 일단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물리적인 전용 경로를 만든 다음 전송하고, 전송이 끝나면 이 경로를 끊는 방식입니다. 전화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CLI

Command Line Interface 의 약자로서, 시스코 라우터가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명령어를 메뉴방식이나 아이콘 방식이 아닌 직접 텍스트 입력방식으로 입력해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도스나 유닉스 역시 CLI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비되는 말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가 있습니다.

 

Client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노드(PC, 프린터, 등) 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주로 사용자 PC 를 나타내는 경우가 ㅁ낳습니다.

 

Client / Server Computing

전송이 주로 클라이너트와 서버사이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입니다. 파일 서바나 프린터 서버, 그리고 메인프레임 등을 두고 각각의 유저 PC 들이 이런 서버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보통 클라이언트/ 서버환경이라고 말합니다.

 

CMTS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요즘 많이 사용하는 케이블 모뎀을 접속해주는 센터용 장비를 말합니다. 시스코에는 UBR 장비가 있습니다.

 

Coaxial Cable

보통 동축 케이블이라고 합니다. 하나의 내부 와이어 전도체를 감싸고 있는 속이 빈 외부 실린더형 전도체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블 입니다. 현재 LAN에서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종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50ohm 케이블과 아날로그 신호처리와 고속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75ohm 케이블 두가지가 있습니다.

 

Collapsed backbone

주요 네트워크 장비가 중앙에 모여있고 클라이언트들이 이곳에 접속된 구조로 만들어진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입니다.

 

Collision

이더넷에서 두 노드가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콜리전이라고 합니다. 콜리전이 발생하면 전송 노드는 이 패킷을 다시 전송해야 합니다.

 

Collision domain

이더넷에서 서로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하는 영역을 말합니다. 허브나 리피터로 연결된 모든 노드들은 서루 같은 콜리전 도메인에 있습니다. 이러한 콜리전 도메인은 브리지나 스위치를 통해서 나누어 줄 수 있습니다.

 

Communication server

일반적으로 모뎀 등의 콜을 LAN에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우리가 집에서 모뎀을 통해 ISP 업체에 접속하는 경우 우리 모뎀의 콜을 처음으로 받아서 서버나 인터넷 쪽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이 서버는 access server 또는 NAS 라고 합니다.

 

Compression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보다 적은 대역폭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압축 기술입니다. 일단 압축된 데이터는 전송 후에 도착지에서 다시 압축을 풀어서 사용합니다.

 

Concentrator

예전에 hub(허브)를 부르던 말입니다. 모든 케이블을 한 곳에 집중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즘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 말입니다.

 

Congestion

네트워크 용량을 초과하는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에 컨제션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Connectionless

통신시에 전송 대상 간의 연결을 먼저 하지 앟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에 대비되는 말로 전송 전에 먼저 커넥션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인 Connection oriented 방식 이 있습니다.

 

Connection-oriented

전송전에 연결을 맺는 통신방식입니다.

 

Console

주로 호스트로 들어가는 통로를 말합니다. 라우터나 스위치의 세팅시에도 콘솔을 이용해서 명령을 입력합니다. 따라서 당연히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장비에는 콘솔포트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케이블을 콘솔 케이블이라고 합니다.

 

CPE

Customer PRemises Euqipment의 약자입니다. 전화회사로 부터 정보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자의 사무실 또는 집에 설치되는 방비를 일컫는 말입니다. 지로 터미널, 전화기, 모뎀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CRC

Cyclic Redundancy Check의 약자로, 데이터의 전송시 수신측에서 오류점검을 위해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CS

Convergence Sublayer 의 약자입니다. ATM에서 사용되는 서브레이어입니다. 오류 점검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의 약자입니다. 이더넷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때 먼저 현재 네트워크에 전송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전송을 시작하는데, 이때 동시에 두 장비가 전송을 시작하면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전송장비는 이 충돌을 감지하게 됩니다. 충돌이 발생하면 전송장비는 데이터를 랜덤한 시간이 흐른 뒤에 재전송을 시도합니다.

 

CSU

Channel Service Unit 의 약자입니다. 보통 전용선 설치시 라우터와 회선 사이에서 연결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DSU와 함께 사용되어 CSU/DSU라고도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속도가 낮은것은 DSU를, 속도가 높은것에는 CSU를 사용합니다.

 

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기존의 통신(PBX) 장비를 컴퓨터 애플리케이션과 통합한 형태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CTS

Clear To Send의 약자입니다.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되어 있을 때 송신측에서 보내는 신호입니다. EIA/TIA-232 규격입니다.

 

Cut-through packet switching

스위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며 데이터가 들어올 때 이 데이터가 전부 들어오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맨 앞쪽의 목적지 주소만 읽게 되면 바로 목적지로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와 대비되는 말로는 store and forward switching 이 있습니다.

 

DAS

Dual Attachment Station, 즉 이중 연결 스테이션의 약자입니다. FDDI에서 메인(Main) FDDI 링과 세컨더리(secondary)FDDI 링에 모두 연결되는 장비를 말합니다. 이렇게 이중 연결방식을 사용해서 만약 메인 링에 장애가 발생해도 세컨더리 링(Secondary ring)을 통해 전송이 가능합니다.

 

Data link layer

OSI refence model(OSI 참조모델) 의 두번째 계층입니다.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신뢰 할 수 있게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링크계층은 ㅜㅁㄹ리적인 어드레싱, 네트워크 토폴로지, 라인 규칙(line discipline), 오류 통지, 순차적 프레임 전달, 흐름 제어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계층은 두개의 서브레이어, 즉 MAC 서브레이어와 LCC 서브레이어로 다시 나눠집니다.

 

DCE

1. Data Communications Equipment의 약어 (EIA 확장기준)

2.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의 약어(ITU-T 확장기준)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측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수단, DCE 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물리적인 수단이 되며, 트래픽을 전송하고, DCE 장치와 DTE 장치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동기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럭 처리 신호를 제공합니다. 모뎀과 인터페이스 카드는 DCE의 예입니다.

 

D channel

Data channel의 약자입니다. BRI에서 16Kbps나 PRI에서 64Kbps 채널을 제공합니다. AODI는 바로 이 D채널을 이용한 통신입니다.

 

DDR

Dial-on-Demand Routing 의 약자입니다. 라우팅이 필요할 때만 자동으로 세션을 연결하고 라우팅이 종료되면 세션을 자동으로 끊는 라우팅 방식을 말합니다. 주로 전화회선이나 ISDN 등이 DDR 에 많이 이용됩니다.

 

DECnet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이 개발한 통신 제품군(프로토콜 패키지 포함), DECnet/OSI(DECnet Phase V 라고도 함) 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것이며, OSI프로토콜과 전용 Digital 프로토콜 을 모두 지원합니다.

Phase IV Prime은 DECnet 노드를 MAC 주소와 관련된 한계가 있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내장된 MAC 주소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그리 많이 사용되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것이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두면 됨

 

Dedicated LAN

전용 랜을 의미하는 말로 보통 스위치에서 연결된 라인을 말합니다. 즉 허브에 연결된 shared LAN과 대비되는 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Dedicated line

보통 전용회선이라고 부르며 영구적으로 전송을 위해 살아 있는 라인을 말합니다. leased line(임대회선)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 대치되느내 말로는 Dial-up line 이 있습니다.

 

Default route

라우팅 테이블에 지정되지 않은 목적지를 찾아가는 경우 사용하는 경로입니다. 즉 목적지가 라우팅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을 때 라우터는 디폴트 라우트로 경로를 배정합니다.

 

Delay

지연, 즉 송신자가 송신을 시작한 것과 수신자가 처음으로 응답을 받은 것 사이의 시간을 말합니다.

 

Designated router

OSPF에서 만들어지는 라우터로 멀티 액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LSA 를 생성하고 OSPF를 실행할때 다른 특별한 책임을 지는 라우터입니다. 적어도 두대의 라우터가 연결되어 있는 각 멀티 액세스 OSPF 네트워크에는 OSPF Hello 프로토콜에 의해 선택된 Designated router 가 필요합니다.

 

Destination address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주소를 말합니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곳의 주소는 source address 입니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의 약자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부팅시 DHCP 서버에게 IP 주소를 요구하고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IP 주소를 분배해 줍니다. 이러한 DHCP는 IP주소의 효율적인 활용에 효과가 큽니다.

 

Dial Backup

WAN 구간이 다운되었을 때를 대비해서 다이얼 라인으로 백업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다이얼 백업이라고 합니다.

 

Distance vector routing algorithm

디스턴스 벡터 알고리즘은 단순히 방향과 거리에 대한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알고리즘으로,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지 않고 인접한 라우터를 통해서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기술입니다.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는 효과적이지만 큰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의 변화를 인식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루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Bellman-Ford routing(Bellman-Ford라우팅) 알고리즘이라고도 합니다. 대표적인 디스털스 벡터 알고리즘 라우팅 프로토콜로는 RIP와 IGRP 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