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4 Chapter 6,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1.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이기종 시스템 및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교환이 및 처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교환되는 데이터,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된 문서이다. 2. FTP(File Transfer-Protocol)은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3. DB링크(DBLINK)는 수신 시스템에서 DB 연결을 생성하고 송신 시스템에서 해당 DB연결을 직접 참조하는 연결 방식이다. 4. 소켓(SOCKET) 은 서버는 통신을 위한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고 통신하는 방식이다. 5.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는 각 인터페이스 번호당 인터페이스가 되는 데이터, .. 2021. 5. 11. Chapter 5, 인터페이스 구현 1.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분석기법이다. 2. 브레인 스토밍은 소속된 인원들이 자발적으로 자연스럽게 제시된 아이디어 목록을 통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3. 개체(Entity) 정의서 는 데이터베이스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이다. 4. 테이블(Table)정의서는 논리 및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 인덱스(Index),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이다. 5.(중계서버/인터페이스 서버) 는 송신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 하고 연계 데이터의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다. 6. UDDI는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2021. 5. 11. Chapter 4, 통합구현 1. 데이터정의어 (DDL) 은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로서 '데이터를 담는 그릇을 정의하는 언어'이다. 2. 기본키(Primary Key)는 테이블의 각 튜플들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키이다. 3. 외래키(Foreign Key)는 한 릴레이션의 컬럼이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 키로 이용되는 키이다. 4. 반 정규화(De-Normalization)은 정규화된 엔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이다. 5. 슈퍼타입(Super Type) 은 모든 서브타입으로 상속 (Inheritance)되는 공통 속성이다. 6. 서브타입(Subtype) 은 개체(Entity)의 전체 집합에서 일부만 모아 놓은 부분 속성이다. 7. 인덱스(Inde.. 2021. 5. 11. Chapter 3, 데이터 입출력의 구현 1. (UI(User Inte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넓은 의미에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물리적, 가상의 매개체이다. 2.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는 UI 유형 중 명령어를 그래픽 환경을 기반으로 한 마우스나 전자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고, 그래픽 반응 기반 인터페이스 이다. 3. NUI(Natural User Interface)는 UI 유형 중 사용자가 가진 경험을 기반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 신체 부위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고, 터치, 음성을 포함하는 직관적 사용자 반응 기반 인터페이스 이다. 4. CLI(Command Line Interface) 는 UI 유형중 명령어를 텍스트로 입력하여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 2021. 5. 11. 이전 1 ··· 5 6 7 8 9 10 11 ··· 89 다음